AHRIBORI.COMv0.9
HomeAbout (2)Javascript (7)CSS (12)React (3)Webpack (1)Java (0)Node.js (4)ElasticSearch (1)자료구조 (8)알고리즘 (6)Selenium (1)Linux (2)Docker (1)Git (1)Tip (4)Issue (1)Memo (3)
star0
[자료구조] 그래프(Graph)
​(1) 그래프?그래프란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 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로, 정점(Vertex)과 정점들을 연견하는 간선(Edge)로 구성된다. 일반적으로 정점은 원으로 표현하고, 간선은 화살표나 직선으료 표현한다.그래프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, 그래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985
star0
[자료구조] 히프(Heap)
(1) 히프?히프(Heap)는 최댓값 및 최솟값을 찾아내는 연산을 하기 위한 완전이진트리를 기본으로 한 자료구조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.완전 이진 트리부모 노드의 키 값이 자식 노드의 키 값보다 크다(최대 히프) or 작다(최소 히프)​(2) 노드 삽입히프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2938
star0
[자료구조] 이진탐색트리(Biniary Search Tree)
​이진 탐색 트리는 존재하는 모든 노드에 대해서 다음의 성질을 만족하는 이진트리다.한 노드의 왼쪽 트리에 있는 모든 키값은 그 노드의 키값보다 작다.한 노드의 오른쪽 트리에 있는 모든 키값은 그 노드의 키값보다 크다.각 노드의 키값은 모두 유일해야 한다.(1) 탐색이진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1749
star0
[자료구조] 이진 트리(Binary Tree)
​(1) 이진트리?이진트리(Binary Tree)란 하나의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는 트리를 말한다.어떤 하나의 노드를 부모 노드(parent node)라고 할 때, 왼쪽 자식 노드(left child node)와 오른쪽 자식 노드(right ch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648
star0
[자료구조] 재귀함수 (Recursive function)
재귀함수(Recursive function)은 함수 내부에서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.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. const factorial = n => { return n > 0 ? factorial(n - 1) : 1; } 위의 factorial 함수는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함수다. n이라는 인자를 받아서 n이 양수이면 다시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909
star0
[자료구조] 배열(Array)과 연결리스트(LinkedList)
이 글에서는 배열과 연결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배열과 연결리스트는 모두 선형 자료구조로 비슷하면서도 반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.​배열은 데이터를 물리적 주소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 바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 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다. 그러나, 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3651
star0
[자료구조] 스택(Stack)
​스택(Stack)은 후입선출(LIFO, Last-In, First Out)의 자료구조이다.입출력이 같은 곳에서 일어나며,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푸시(Push), 데이터를 반출하는 것을 팝(Pop)이라고 한다.맨 위에 있는 데이터를 가리켜 탑(Top) 이라고 하고 T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1215
star0
[자료구조] 큐(Queue)
​큐(Queue)는 기본적인 자료구조로 먼저 삽입된 자료가 먼저 나오는 FIFO(First In First Out) 구조다. 입력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고 싶은 작업이 있을때 사용한다.Enqueue는 데이터를 PUT 하는 것, Dequeue는 데이터를 GET 하는 것...
6년 전
아리보리댓글 0|조회 535